분류 전체보기471 호네트 대 프레이저, 그리고 정치경제학 비판 호네트 대 프레이저, 그리고 정치경제학 비판 백선우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들어가며 정치철학자 낸시 프레이저(Nancy Fraser)는 현 시대를 한편으로 현실사회주의의 붕괴, 198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의 대두와 사회-민주주의적 복지국가의 위기 등으로 인해 한 때 정의론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던 경제적 문제와 평등주의적 분배의 요구가 중심적 위치를 상실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1970년대 탈-경제중심주의적인 신좌파의 등장과 그 이후 신사회운동의 등장 등과 함께 섹슈얼리티, 젠더, 종교, 민족, 인종 등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적 갈등의 증가와 차이에 대한 인정의 요구 혹은“정체성 정치”가 앞의 분배의 정치를 탈-중심화 시키며, 이를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 그녀는 이러한 시대진단으로부.. 2018. 3. 26. 마르크스의 ‘두 가지 발견’ 마르크스의 ‘두 가지 발견’* 에티엔 발리바르(Étienne Balibar)번역: 정용택 | 연구집단 CAIROS * Actuel Marx 2011/2 (No 50), pp. 44-60. [아래 각주 1에서 발리바르가 밝히고 있듯이, 이 글은 원래 뉴욕 컬럼비아대학 학회에서 영문 원고로 먼저 발표되었는데 이후에 발리바르가 불어본으로 개정하여 Actuel Marx지(誌)에 기고했고, Cadenza Academic Translations에 의해 영어로 재번역되어 Actuel Marx지(誌) 원문제공 웹사이트에 불어 원고와 함께 게시되었다. 이 글은 영문 원고를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https://www.cairn-int.info/article-E_AMX_050_0044--marx-s-two-discov.. 2018. 3. 20. 소비자 혹은 표백된 주체 소비자 혹은 표백된 주체 고준우 / 학생활동가 “학생운동은 가능한가?” 이것이 나를 사로잡았던 질문이었다. 단순히 학생운동의 자랑스러운 전통이 주는 아우라만으로는 오늘날의 학생운동을 지탱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학생운동조직은 계속해서 위축되고 ‘운동권’이라는 낙인과 함께 학우들로부터 도매금으로 혐오를 받는 상황에서 학생운동의 가능성, 즉 학생운동의 까닭(원인과 조건)을 묻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먼저 학생운동의 원인을 살펴야 했다. 학생운동이 실천된다면 어째서 그러한가? 이 질문은 먼저 이론적으로는 학생운동이 고유하게 자신의 영역으로 삼아야 할 모순(들)이 있는지, 있다면 그것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를 묻는다. 다시 말해 학생운동만의 현장이 있는지 여부와 그 현장의 지형에 대한 물음인데.. 2018. 3. 20. 인권선언과 세 가지 정치(2) 반복의 정치 그러나 아무리 인권선언이 국가제도 안에 인간과 시민의 자유와 평등을 기입해 넣었다고 하더라도 실제 국가가 이 권리들을 적극적으로 보장하는 방향으로 작동해왔던 것은 아니다. 이는 단지 「인간과 시민의 권리에 관한 선언」만이 아니라 근대 최초의 공화정을 탄생시킨 미국독립혁명과 그 혁명의 방향성을 천명한 미국의 「독립선언문」(1876년)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심지어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를 수립한 소비에트연합에서 선포된 「노동 피착취 인민의 권리선언」(1918년)조차도 ‘선언’의 문장이 현실을 완전히 장악하지 못했다. 아니 오히려 현실은 ‘선언’이라는 형식으로 기입된 인간과 시민의 자유와 평등에 대한 배반에 가까웠다. 그렇다면, 기입의 정치란 한때 인민의 결집된 힘이 권리를 억압하는 권력체제.. 2018. 3. 14. 착취 착취 에티엔 발리바르번역 : 구준모 이 원고는 2013년 11월 15일 브라운대학교 코것Cogut인문학센터에서 열린 정치적 개념들 컨퍼런스에서 발표한 것이다. 이 컨퍼런스에서 ‘착취’를 발표해 달라는 제안을 받고서, 나는 지금 만들어지는 ‘정치적 개념들’ 백과사전의 틀에 따라서 마르크스주의의 정치적 특징을 옹호하려고 생각했다. 착취가 마르크스주의의 중심 통념들 중 하나이고, 학문분과 영역들 및 어법들의 분리를 극복하는 마르크스주의의 방식을 특징짓는다는 것을 모든 사람이 알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착취 개념은 마르크스주의가 비판 이론을 위한 중요한 참조점이라는 우리의 확신의 근거가 된다. 정치 이론가에게 착취는 ‘경제적’ 개념처럼 보이거나, 최소한 경제학주의economicism로 가득 차 있다. 착취는 .. 2018. 3. 13. 반쯤 지워진 비문 - 예브게니 크로피브니츠키와 리아노조보 그룹 반쯤 지워진 비문- 예브게니 크로피브니츠키와 리아노조보 그룹 - 이 종 현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작년 말 우연히 삽기르 학술대회에 들렀다가 삽기르의 시를 읽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의 시에 나온 친구 홀린의 시도 읽어 보았습니다. 그러다보니 둘의 스승이었던 예브게니 레오니도비치 크로피브니츠키(Евгений Леонидович Кропивницкий, 1893-1979)의 시를 읽기에 이르렀습니다. 보통 러시아 현대시를 읽을 때는 1990년대 한국에 번역되었던 예브게니 옙투셴코, 안드레이 보즈네센스키, 이오시프 브로드스키, 벨라 아흐마둘리나 등을 큰 줄기로 삼습니다. 실제로 러시아인들도 이 시인들을 잘 알고 이들의 시를 참 좋아합니다. 삽기르, 홀린, 크로피브니츠키는 요즘 러시아 사람들한테도 생소한 시인들.. 2018. 3. 11. 이전 1 ··· 61 62 63 64 65 66 67 ··· 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