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1

『역사유물론 5연구』 한국어판 서문 『역사유물론 5연구』 한국어판 서문[각주:1]   1974년 출간한 저의 논문 모음집 『역사유물론 5연구』가 배세진 씨의 노고로 이전 1989년 번역본과는 달리 이제 완역돼 새 한국어 번역이 나올 수 있게 되어 저는 큰 기쁨과 영광을 느낍니다. 저는 역자 배세진 씨에게 깊은 감사를 표하고 싶은데요, 그런데 45년도 더 전에 출간했던(그리고 이 5연구 중 몇몇 연구의 경우 그보다도 더 오래되었죠) 책을 오늘날 한국의 독자들이─오늘날 한국의 독자들 가운데에서도 특히, 제가 교육받았던 그리고 제가 철학과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연구에 착수했던 그러한 세계와는 분명 매우 다른 세계 속에서 성찰의 시대[혹은 나이]로 이제 막 접어들고 있는, 젊은 세대의 독자들이─관심을 가질 만한 가치가 있을 거라 판단하고 이를 번역.. 2019. 11. 10.
여성들과 공동체의 전복 PDF 합본 2019. 11. 2.
여성들과 공동체의 전복(2/2) - 마리아로사 달라 코스타 여성들과 공동체의 전복(2/2) 마리아로사 달라 코스타이승준 옮김(연구공간 L)잉여 가치와 사회적 공장 그러면 이 지점에서 우리는 정통 맑스주의가, 특히 이른바 맑스주의 정당들의 이데올로기 및 실천에서 늘 당연한 것으로 간주했던 특정한 관점의 근거를 분명히 하는 것으로 시작하고 싶다. 그 관점이란 이렇다. 여성들이 사회적 생산의 외부 즉 사회적으로 조직된 생산 순환의 외부에 있을 때, 그들은 또한 사회적 생산성 외부에 있다는 것이다. 달리 말해서 여성들의 역할은 가정 바깥에서 주변적으로 고용된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산 외부에 있는 심리적으로 종속된 자의 것으로, 즉 본질적으로 가정에서의 일련의 사용가치를 공급하는 자의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는 기본적으로 맑스의 관점인데, 그는 공장들에서 노동하는 여.. 2019. 10. 31.
상호-대상성/객관성/객체성(inter-objectivité) 후기: 상호-대상성/객관성/객체성(inter-objectivité)  에티엔 발리바르(Étienne Balibar) 지음배세진 옮김(파리 7대학 사회과학대학 ‘사회학 및 정치철학’ 학과 정치철학 전공 박사과정) [옮긴이] 이 텍스트는 발리바르의 논문집 “시민-주체”(PUF, 2011)에 수록된 논문 ‘상품의 사회계약: 마르크스와 교환의 주체’의 후기(post-scriptum)를 번역한 것이다. 출판을 염두에 두지 않은 번역이므로 가독성을 해치더라도 inter-objectivité는 ‘상호-대상성/객관성/객체성’으로, inter-subjectivité는 ‘상호-주관성/주체성’으로 옮기도록 하겠다. inter는 ‘상호’ 혹은 ‘간’으로 옮길 수 있으며, objectivité는 불어의 objet나 영어의 ob.. 2019. 10. 15.
주변부 지도 그리기 : 교차성, 정체성의 정치, 그리고 유색인여성에 대한 폭력 (5) 주변부 지도 그리기 교차성, 정체성의 정치, 그리고 유색인 여성에 대한 폭력 (5) 킴벌리 크랜쇼단감(페미니즘 번역모임) 옮김 C. 사회과학에서 강간과 교차성 반인종주의 운동 및 페미니즘 운동이 강간법에 대해 비판할 때 흑인 여성의 경험이 주변화되는 경향은 인종차별과 성차별이 수렴되는 방식을 제대로 조사하지 못하는 사회과학 연구에 의해 한층 촉진된다. 게리 라프리의 『강간과 형사 사법제도: 성폭력의 사회적 구성』이 전형적인 사례이다. 라프리는 미니애폴리스에서 이뤄진 강간 기소를 연구하여 강간 기소에 관한 두 가지 지배적인 주장의 타당성을 점검하고자 한다. 첫 번째 주장은 흑인 피고인이 심각한 인종 차별에 직면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피해자가 전통적이지 않은 행위를 했을 때에는 강간법이 피해자가 성폭력 .. 2019. 10. 5.
관개체적인 것의 철학들 : 스피노자, 마르크스, 프로이트 [옮긴이 앞글]  “스피노자와 정치”는 프랑스대학출판부(PUF)에서 1996년 최초로 출간되어 전세계 스피노자 연구에 한 획을 그은 저서이며(하지만 놀랍게도 이 저서는 “마르크스의 철학”과 유사하게 스피노자에 대한 ‘개론서’ 혹은 교수자격시험 대비용 ‘수험서’이다), 국내에서는 진태원 교수에 의해 한 차례 국역된 이후, 독자들은 현재 그 개정판 “스피노자와 정치”(진태원 옮김, 그린비, 2014)를 시중에서 구해 읽을 수 있다. 이 진태원 교수 번역의 “스피노자와 정치”에는 ‘스피노자, 반오웰: 대중들의 공포’, ‘스피노자에서 개체성과 관개체성’, ‘스피노자, 루소, 마르크스: 정치적인 것의 자율성에서 정치의 타율성으로’라는 발리바르의 세 편의 중요한 논문의 번역들, 그리고 옮긴이 진태원 교수의 해제와 .. 2019. 9. 12.
인간학적 차이의 정치철학: 브뤼노 카르젠티와의 대담 [옮긴이] 이 대담은 매우 짧은 분량의 글이지만, 정치철학에 관한 발리바르의 최근의 생각을 집약적으로 읽을 수 있는 매우 시사적인 대담이다. 발리바르의 작업 스타일을 감안할 때, 여기서 가설적으로 소묘된 내용들은 다른 글들을 통해 좀더 구체적이고 발전된 모습으로 제시될 것 같다. 제한된 분량 내에서 다면적인 문제들을 함축적으로 전달하려다 보니까 문장이 복잡해지고 때로는 매우 모호한 표현도 나타나고 있다. 이를 감안해서 얼마간 풀어서 번역을 했는데, 좀더 검토를 해본 다음 오역이 있다면 바로 잡겠다. 이 글 역시 (당장) 출판할 목적으로 번역한 게 아니고 충분한 교열을 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직접 인용은 불허한다.   인간학적 차이의 정치철학: 브뤼노 카르젠티와의 대담Etienne Balibar, “Une.. 2019. 9. 10.
흑인여성의 모성 : 억압의 지점에서 저항의 공간이 되기까지 흑인 여성의 모성 : 억압의 지점에서 저항의 공간이 되기까지     해미   1. 들어가며  이 글은 패트리샤 힐 콜린스의 흑인 페미니즘 사상> 에서 제시된 통제적 이미지로서의 ‘흑인 모성'의 생성 배경 및 작동 방식과 흑인 모성, 더 나아가 출산 및 양육에 대한 흑인 여성의 대응 방식을 분석한다. 여기서 통제적 이미지란 교차하는 여러 억압을 정당화하고 지속시키는 이데올로기를 생산하는 이미지를 말한다. 흑인 여성에 대한 통제적 이미지는 흑인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노동력의 착취를 정당화하려는 지배집단의 계략과 흑인 확대가족 네트워크 내에서 흑인의 생존을 위해 구축된 문화가 얽혀 생성된다. ‘흑인 모성’은 흑인 여성이 병행한 유모화된 유급노동과 양육이라는 무급노동의 착취를 정당화하는 통제적 이미지로 다양하게 .. 2019. 9. 2.
“레닌과 철학” 입문 [편집자의 말] 이 글은 2001년 개정 출간된 Lenin and Philosophy and Other Essays(벤 브루스터 역, 먼슬리 리뷰 출판사)에 덧붙여진 프레드릭 제임슨의 발문이다. 이 책은 1971년에 이미 같은 역자, 같은 출판사에 의해 영어권 독자들에게 소개된 바 있으나, 제임슨의 이 발문은 그간의 알튀세르에 대한 이해를 갱신하게 만든다. 이 책에 수록된 알튀세르의 글 중 「레닌과 철학」은 진태원의 번역으로 『레닌과 미래의 혁명』(그린비, 2008)에서,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들(연구를 위한 노트)」는 『아미앵에서의 주장』(김동수 역, 솔, 1991) 및 『재생산에 대하여』(김웅권 역, 동문선, 2007)에서, 「프로이트와 라캉」은 윤소영이 편역한 『알튀세르와 라캉』(공감.. 2019. 8.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