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4

정동으로서의 ‘공정’ - 누가 고통을 말하는가. 정동으로서의 ‘공정’ - 누가 고통을 말하는가. 전주희 ‘다시’ 공정의 한 복판 2019년 문재인 정부의 최대 위기였던 조국사태에 대한 논란은 ‘공정’의 문제를 중심으로 증폭되었다. 그리고 이는 86세대와 2030 세대간의 갈등으로 표현되었다. 최순실 게이트가 박근혜 퇴진과 문재인 정부의 등장으로 이어진 ‘촟불정국’에서 정유라 이대 입시 및 수업 특혜문제는 전체 정국에서 곁가지에 불과했지만 분명한 변곡점을 이룬다. 문재인 정부는 그 어느 정부보다 공정을 화두로 삼았다. 2017년 5월 10일 제19대 대통령 취임선서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정하며 결과는 정의로울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조국사태를 거쳐 최근 불거진 인천공항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정규직화를 둘러싼 갈등에서 문대통령에.. 2020. 7. 6.
지금까지 철학자들은 『자본』을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해오기만 했다. 하지만 왜 이러한 해석에 그치지 않고 『자본』을 변형하기도 해야만 하는가. 그리고 어떻게 변형할 것인가. 지금까지 철학자들은 『자본』을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해오기만 했다. 하지만 왜 이러한 해석에 그치지 않고 『자본』을 변형하기도 해야만 하는가. 그리고 어떻게 변형할 것인가[각주:1]   자크 비데(Jacques Bidet) 지음 배세진 옮김     『자본』과 철학   “지금까지 철학자들은 세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해오기만 했는데, 이제 중요한 것은 이 세계를 변형하는 것이다.”[각주:2] 청년-헤겔주의자들의 용어로 말하자면, 천상에 있던 철학을 지상으로 내려오게 만들기. 이것이 1845년부터 마르크스가 결연히 걸어나가기 시작했던 그러한 새로운 길이다. 마르크스의 이러한 도전[기획]은 스스로를 하나의 부름(adresse)으로, 하나의 호명(interpellation)으로, 하나의 명령(injonction).. 2020. 7. 5.
사라 아메드_정동적 경제(합본) 2020. 5. 6.
사라 아메드의 <Affective Economies> (4/4) 사라 아메드의 번역: 박구비감수: 단 감 공포의 글로벌 경제(Global Economies of Fear) 우리는 공포가 집단적 형태를 지키기 위해서 작동하는 과정을 더욱 명확히 생각해볼 수 있다. 내가 주장하는 바는 사회적이고 집단적이 되는 공포의 물질적 경제가 있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개별적 주체가 집단적 주체와 일치되며 존재 안으로 들어온다는 것이다. 정동의 실패란 바로 집단적 주체의 표면을 만들어 내도록 하는 주체나 대상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공간적이고 신체적인 공포 경제의 복잡성은 9.11 이후의 글로벌 경제 안에서 너무나 분명해졌다. 공포는 테러리즘으로 명명되고, 테러리스트들은 파괴와 죽음을 일으키려는 자이자 다른 사람들을 두렵게 하는 자로(덜 유동적이고, 이동의 자유가 더 적은) 극한의 .. 2020. 4. 10.
사라 아메드의 <Affective Economies> (3/4) 사라 아메드의 번역: 박구비감수: 단 감 공포, 신체들, 그리고 대상들(Fear, Bodies, and Objects) 나는 이제 정동 경제로서의 나의 감정 모델을 특히 공포(fear)와 신체의 물질화에 연결하고자 한다. 특히 공포는 종종 그 대상에 관한 특징을 갖고 이에 따라 내가 앞에서 정의한 경제적 감각 안에서는 작동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실제로 공포는 대상이 있다는 이유로 불안과 대조되곤 한다. 예를 들어 스탠리 라흐만(Stanley Rachman)은 불안이 “위협이지만 모호한 사건에 대해 긴장된 예측”이나 “편안하지 않은 긴장감”이라고 설명하는 반면, 공포는 “인식 가능한 위협에 대한” 감정적 반응이라고 설명한다. 나는 이 모델에 대해 공포가 대상의 “지나감(passing by)”과 .. 2020. 4. 10.
사라 아메드의 <Affective Economies> (2/4) 사라 아메드의 (2/4) 번역: 박구비감수: 단 감 혐오의 경제(Economies of Hate) 확실히 일상 언어들은 감정을 주체나 형상 안에 존재하는 것으로 형상화한다. 그래서 “나는 감정을 느껴(I have a feeling).”라고 말하거나, 어떤 영화에 대해 “슬퍼(being sad).”라고 묘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발화를 통해서 감정은 소유물이 된다. 즉, 어떤 특징이나 성질의 형태를 가지고 어떤 주체나 대상에 속한 것이 된다는 것이다. 나는 내가 감정을 가졌다는 생각, 혹은 어떤 것이나 누군가에 의해 내가 특정한 방식으로 느끼게 된다는 생각에 도전하려 한다. 나는 감정이 주체나 대상을 포함하지만, 그 안에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주목한다. 실제로 감정은 어느 특정한 역사(이력), .. 2020. 4. 10.
사라 아메드의 <Affective Economies> (1/4) 사라 아메드의 (1/4) 번역: 박구비 감수: 단감 그 ‘사랑’의 깊이는 진정한 백인 민족주의자의 영혼과 정신에 깊이 뿌리 내리고 있어 “혐오”라는 형태와는 비교를 시작할 수조차 없다. 최소한 근거 없는 추론을 통해 일어난 혐오는 아니다. 평범한 백인 남성이 다인종 커플을 바라볼 때 소름끼치도록 싫은 마음이 들어 인상을 쓰게 되는 이유는 분명 혐오가 아니다. 백인 가정주부가 부패한 법원이 아동 성추행범이나 성폭행범에게 몇 년의 짧은 징역형이나 가석방을 선고했다는 기사를 읽은 뒤, 역겨움과 화(anger)가 치밀어 유대인들이 발행하는 일간지를 거절하게 되는 이유는 분명 혐오가 아니다. 백인 노동자가 최근 우리 해안에 보트를 타고 들어온 난민들이 이 나라를 세운 백인 시민들의 일자리를 빼앗아간다고 난민들을 .. 2020. 4. 2.
교차성의 초국적 여정 패트리샤 힐 콜린스 심포지엄 교차성의 초국적 여정 주해연(토론토 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hy.choo@utoronto.ca) 번역: 박주현(버클리 대학교 사회학과 박사수료생 jp53@berkeley.edu) 『흑인 페미니즘 사상』은 아프리칸-아메리칸 여성의 삶에 뿌리내리고 있으나, 그곳에서 멈추지는 않는다. (…) 나는 나의 생각이 미국 국경을 넘어 여행하기를 바란다. 미국이 아닌 나머지 세계에 또다른 지식 수출의 일부로서가 아니라, 전세계에서 비슷하게 억압받는 그룹들 간의 대화이자, 생생한 다민족 사회를 만드려는 모든 이들 간의 대화의 시작으로서 여행하길 바란다. - 패트리샤 힐 콜린스(2009), 『흑인 페미니즘 사상』 한국어 번역본 서문 중 『흑인 페미니즘 사상』이 미국 국경을 넘어 이동할 때 어떤 .. 2020. 1. 31.
부르디외 사회학의 주요 개념들 개관 피에르 부르디외 사회학의 주요 개념들 개관: 핵심 개념들의 유기적 관계 김현준 _서교인문사회연구실(사회이론 연구팀) 부르디외의 이론의 출발점, 인식론적 전제는 ‘사회적 공간(social space)’과 사회적 ‘실천(practice)’이다. 따라서 이 두 개념으로부터 설명을 시작하면 좋을 듯하다. 사회적 공간(social space)은 사회 세계를 실체론적(substantialist) 방식으로 생각하는 경향과 단절하고 관계적(relational)으로 이해하려는 것이다(Bourdieu, 1998:31). 행위자들은 이 사회적 공간 내에 위치지어져 있으며 객관적 구조나 제도는 이 공간의 역학 관계로부터 파생한다. 이 사회적 공간의 구체적이고 경험적인 세계가 바로 장(field)이다. 그리고 사회적 공간에서 .. 2020.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