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1

‘이생망’과 시간 ‘이생망’과 시간 길혜민|국문학 연구자 신은 알파와 오메가, 처음과 끝, 시작과 나중이라고 합니다.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발생이라는 현상의 원인이며 발생의 결과가 된다고도 할 수 있는 이러한 존재에게 있어서 ‘중간’이라는 지대는 어떤 것일까요? 그것도 또한 신의 영역일까요? 아니면 신이 버린 영역일까요? 저는 오늘 ‘중간’이라는 시간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신이 버렸는지 아님 그 안에 신이 있는지, 언제 시작됐는지도 언제 끝날지도 알 수 없는 어느새 우리에게 이미 주어진 ‘중간’ 말입니다. ‘이생망=이번 생은 망했다’ 지구에서 숨이라는 것이 붙어있는 존재라면 대개가 ‘이생망’이라는 말을 체험하는 시절을 보내고 있지는 않을까 생각하는 나날들입니다. 어쩌다 여기까지 왔을까요. 그냥 매일을.. 2017. 9. 11.
3화 만국의 오타쿠여, 덕질하라! 3화 만국의 오타쿠여, 덕질하라! 지영(국문학 연구자) 1. 대잉여의 시대 1997년 7월 연재를 시작한 오다 에이치로의 는 2014년에 3억 부 이상을 발행하여 “가장 많이 발행된 단일 작가의 단일 만화 시리즈”로 기네스북에 올랐다. 의 세계는 해적왕 골드D 로저가 죽으면서 남긴 “나의 보물? 원한다면 주도록 하지. 잘 찾아봐. 이 세상 전부를 거기에 두고 왔으니까.”라는 말로 인해서 ‘대해적 시대’를 맞이한다. 그리고 주인공인 밀짚모자 루피와 그의 친구들 역시 각자의 보물을 찾아 항해를 시작한다. 이 작품이 대해적 시대를 표방하고 전개될 수 있는 이유는 작품의 배경 공간이 육지가 거의 없는, 즉 주로 섬들로만 이루어진 행성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해적과 해군이라는 설정이 개연성을 지니며 작품 속에 들어.. 2017. 9. 7.
폴 윌먼의 비교 영화 연구 번역을 시작하며 폴 윌먼의 비교 영화 연구 번역을 시작하며 박상빈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영화를 비교한다는 것은 무엇을 뜻할까. 사실 영화를 비교하는 일은 너무나 쉬우며 너무나 일상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일이다. 가령 우리는 할리우드나 유럽의 영화와 비교하며 남한 영화를 오랫동안 방화(邦畫)라 불러온 역사를 가지고 있다. 혹은 시야를 최근으로 돌린다 해도, 요즈음의 소위 ‘알탕 영화’들을 문제시할 수 있는 것은 여성 캐릭터에게 중요한 역할이 부여되거나 여성의 성역할 구분을 무화시키는 캐릭터를 제시하는 다른 영화들과 ‘알탕 영화’들을 비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영화 간의 비교가능성은 영화에 관한 경험에 있어서 너무나 당연한 전제로 주어진다.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영화에 관한 비교는 우리들의 일상에서 수행하는 다른 비교 .. 2017. 9. 7.
‘공산주의’와 ‘자유’는 양립할 수 있는가? ‘공산주의’와 ‘자유’는 양립할 수 있는가? 에티엔 발리바르 번역: 장진범 | 사회학도 이 글은 ‘새로운 세대의 공산주의’라는 주제로 2011년 프랑스 몽뤼송에서 개최된 세미나 당시 발리바르가 발표한 내용을 통일공산주의자연합(Association des Communistes Unitaires, ACU) 기관지 Cerises 측에서 녹취하여 '"Communisme" et "Liberté" peuvent-ils faire bon ménage?'라는 제목으로 2014년 공개한 글을 번역한 것이다. 녹취에 기반한 글이라 일부 오기(誤記)나 의미가 불명확한 부분도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읽어주길 바란다. 추상적으로 말하자면 여러 가능성이 있다. 우선 ‘공산주의’와 ‘자유’는 별개의 통념이고, (가령 ‘공산주의’와 .. 2017. 9. 4.
천로역정: 물리학자 생활 내 남성들의 무용담 - 05 천로역정: 물리학자 생활 내 남성들의 무용담 - 05 번역: Andante | 페미니즘 번역모임 [책소개]책 “입자선-시간과 생애-시간” (Beamtimes and Lifetimes)은 저자인 샤론 트래윅 (Sharon Traweek)이 참여관찰 방법론을 통해 과학자 사회를 연구한 결과물이다. 이 책은 당시 과학기술학의 민족지 연구가 주로 다루던 ‘지식의 형성과정’이라는 화두를 넘어 공간배치, 기계, 연구자의 생애과정과 같은 사회문화적 측면을 다룬 저작이다. 또한 미국과 일본이라는 상이한 문화에서의 과학연구 양상을 비교하여 국가와 젠더가 과학의 구체적 실천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밝혀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여기서는 젠더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룬 이 책의 3장 “순례자의 모험기 (천로역정): 물리학자 .. 2017. 9. 4.
네 번째 엽서: 현상학과 그라마톨로지 네 번째 엽서― 현상학과 그라마톨로지 ― 최 원 | 독립연구자 그 동안 잘 지내셨나요? 한 동안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더니 몇 번의 비와 함께 벌써 가을이 성큼 다가온 듯 날씨가 선선합니다. 이번 엽서에서는 전에 말씀 드린 것처럼 현상학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하는데, 이게 저로서는 조금 조심스러운 일입니다. 왜냐하면 저는 오랜 기간 맑스주의나 포스트-맑스주의(특히 알튀세르와 발리바르의 논의들), 그리고 정신분석학(특히 라캉의 논의들)에 관심을 기울여 왔기 때문에 현상학에 대해서는 충분히 공부할 기회를 갖지 못했기 때문이지요. 저의 엽서를 받아보시는 당신도 어쩌면 현상학을 조금 낯설게 느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현상학은 앞으로도 몇 차례에 걸쳐서 당신께 말씀드려야 할 주제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우선 데리.. 2017. 8. 31.
천로역정: 물리학자 생활 내 남성들의 무용담 - 04 천로역정: 물리학자 생활 내 남성들의 무용담 - 04 번역: Andante | 페미니즘 번역모임 [책소개] 책 “입자선-시간과 생애-시간” (Beamtimes and Lifetimes)은 저자인 샤론 트래윅 (Sharon Traweek)이 참여관찰 방법론을 통해 과학자 사회를 연구한 결과물이다. 이 책은 당시 과학기술학의 민족지 연구가 주로 다루던 ‘지식의 형성과정’이라는 화두를 넘어 공간배치, 기계, 연구자의 생애과정과 같은 사회문화적 측면을 다룬 저작이다. 또한 미국과 일본이라는 상이한 문화에서의 과학연구 양상을 비교하여 국가와 젠더가 과학의 구체적 실천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밝혀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여기서는 젠더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룬 이 책의 3장 “순례자의 모험기 (천로역정): 물리학자.. 2017. 8. 18.
알튀세르에게 연극이란 “허구적 위험”일 뿐인가? (1/3) 알튀세르에게 연극이란 “허구적 위험”일 뿐인가? (1/3) 마르크뱅상 올레 번역 : 황재민 | 알튀세르 번역집단 (1) 원문은 Howlett, Marc-Vincent, «Le Théatre n’est-il pour Althusser qu’un «Risque Fictif»?», dans Lire Althusser aujourd’hui, l’Harmattan, 1997. http://www.multitudes.net/Le-theatre-n-est-il-pour-Althusser/ (2) 옮긴이의 개입은 중괄호 { } 안에 넣었다. 대개 인용 문헌들의 한국어판 서지 사항이다. 마르크스주의의 용어들 속에서 사고하는 것이 더 이상 긴급한 것이 아닌 몇몇 사람들의 눈에는 알튀세르에 대한 독해를 오늘날 다시금 끌어들.. 2017. 8. 16.
나의 학생운동 : Theoractical Moments 나의 학생운동 : Theoractical Moments 고준우 | 고려대 학생 활동가 4년차 들어가며 “모든 사회적 삶은 본질적으로 실천적이다. 이론을 신비주의로 유도하는 모든 신비는 인간의 실천 속에서, 그리고 이러한 실천의 개념적 파악 속에서 그 합리적 해결책을 찾아낸다.”- 카를 마르크스(Karl Marx),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8번왜? 경계인. 나는 세 가지 경계 위에 서있다. 하나는 소속의 경계다. 지금껏 운동을 하면서 다양한 운동단체에 소속된 활동가들과 함께해왔지만 정작 나 자신은 당론이나 강령을 통해 운동방향을 공유하는 정치조직인 정당이나 운동단체에 소속되었던 적이 없었다. 기조와 내규가 있기는 하지만 비교적 그 영향력은 덜한 학회나 학생회 조직에 소속된 경험이 전부였다. 다른 하나는.. 2017. 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