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Translation211

도나 해러웨이, 《트러블과 함께 머물기: 대지세 시대의 친족 만들기》서문과 1,5,6,7장 (2/5) 《트러블과 함께 머물기: 대지세 시대의 친족 만들기》서문 & 1, 5,6,7장 (2/5) 번역 연구공간 L. * 텍스트 서지사항 - Donna J. Haraway, Staying with the Trouble: Making Kin in the Chthulucene, Durham and London: Duke University Press, 2016, pp. 9-29. - 도나 해러웨이,《트러블과 함께 머물기:대지세 시대의 친족 만들(가제) 》 - 관악여성주의비평동인 ‘오프매거진’의 소현의 번역을 참고해 재번역함. https://offmagazine.cargo.site/playing_string 1장 반려종과 실뜨기 놀이하기 에블린 허친슨(G. Evelyn Hutchinson, 1903-1991)과 베아트.. 2022. 7. 13.
도나 해러웨이, 《트러블과 함께 머물기: 대지세 시대의 친족 만들기》서문과 5,6,7장 (1/5) 《트러블과 함께 머물기: 대지세 시대의 친족 만들기》서문 & 5,6,7장 (1/5) 번역 연구공간 L. ※ 미국 듀크대학교 출판사에서 발간된 도나 해러웨이의 책(Donna J. Haraway, Staying with the Trouble: Making Kin in the Chthulucene, Durham and London: Duke University Press, 2016, pp. ⅺ~8.)은 1~8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편, 국내에 번역된 《트러블과 함께하기》는 “1장 반려종과 실뜨기하기, 2장 촉수 사유: 인류세, 자본세, 쑬루세, 3장 공-산: 공생발생과 트러블과 함께하기라는 활기찬 예술, 4장 친척만들기: 인류세, 자본세, 플랜테이션세, 쑬루세, 5장 카밀 이야기: 퇴비의 아이들”의 총 .. 2022. 7. 6.
Shifting the Subject: 도나 해러웨이, 쿰쿰 바브나니의 대화 (3/3) Shifting the Subject : 1993년 4월 12일 캘리포니아주 샌타크루즈, 쿰쿰 바브나니와 도나 해러웨이의 대화 (기록자: 저스틴 마이어스) 번역 백소하 장주연 감수 이은솔 도나 해러웨이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크루즈 캠퍼스에서 페미니즘 이론, 기술 과학의 문화 및 역사적 연구, 여성학을 가르친다. Crystals, Fabrics and Fields: Metaphors of Organcism in Twentieth Century Developmental Biology(Yale University Press, 1976), Primate Visions: Gender, Race, and Nature in the World of Modern Science (New York and London: R.. 2022. 5. 26.
Shifting the Subject: 도나 해러웨이, 쿰쿰 바브나니의 대화 (2/3) Shifting the Subject : 1993년 4월 12일 캘리포니아주 샌타크루즈, 쿰쿰 바브나니와 도나 해러웨이의 대화 (기록자: 저스틴 마이어스) 번역 백소하 장주연 감수 이은솔 도나 해러웨이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크루즈 캠퍼스에서 페미니즘 이론, 기술 과학의 문화 및 역사적 연구, 여성학을 가르친다. Crystals, Fabrics and Fields: Metaphors of Organcism in Twentieth Century Developmental Biology(Yale University Press, 1976), Primate Visions: Gender, Race, and Nature in the World of Modern Science (New York and London: R.. 2022. 5. 18.
Shifting the Subject: 도나 해러웨이, 쿰쿰 바브나니의 대화 (1/3) Shifting the Subject : 1993년 4월 12일 캘리포니아주 샌타크루즈, 쿰쿰 바브나니와 도나 해러웨이의 대화 (기록자: 저스틴 마이어스) 번역 백소하 장주연 감수 이은솔 도나 해러웨이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크루즈 캠퍼스에서 페미니즘 이론, 기술 과학의 문화 및 역사적 연구, 여성학을 가르친다. Crystals, Fabrics and Fields: Metaphors of Organcism in Twentieth Century Developmental Biology (Yale University Press, 1976), Primate Visions: Gender, Race, and Nature in the World of Modern Science (New York and London: .. 2022. 5. 11.
‘캔자스시티에 해방을’: 디지털 그리오로서의 자넬 모네의 혁명(4/4) 카산드라 L. 존스(신시내티 대학 아프리카학 조교수) 저 단감 번역 인류학적 시선과 반기술적 흑인성에 맞서기 디지털 그리오로서의 자넬 모네의 혁명적 잠재력 중 하나는 과거의 역사적 순간들과 현재까지 이어지는 그것의 영향력을 비판하기 위해 이렇게 ‘서로 경쟁하며 보완하는 비트’를 레이어링하는 능력이다. 예를 들어 “Q.U.E.E.N”은 모든 신체부위를 샅샅이 검사하여 흑인의 열등성을 입증하려 했던 19세기의 유사과학을 상기시키며 비판한다. 실제로 반란군의 얼어붙은 몸을 전시하는 전시회는 사라 바트만의 전시와 상통한다. 뮤직비디오의 시작 부분에 등장하는 바둘라 오브롱가타의 위치는 이 주장을 한층 뒷받침한다. 명백히도 모종의 대응을 계획하며 함께 있는 세 명의 혁명가 중 리더로 지칭되고 있음에도, 오브롱가타는.. 2022.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