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Translation211

‘캔자스시티에 해방을’: 디지털 그리오로서의 자넬 모네의 혁명(3/4) 카산드라 L. 존스(신시내티 대학 아프리카학 조교수) 저 단감 번역 모네의 리믹스된 역사 음악적 무기나 전기 자극을 사용하여 지역 사회를 음악적으로 단결시키고 역사를 리믹스하면서 모네의 작품은 단절되지 않은 역사의 연쇄를 보여주는 동시에, 상실한 것처럼 보이는 우리 아프리카의 과거를 재구축하자는 아프리카 미래주의의 또 다른 목표를 재현한다. 그러나 잉글리쉬와 킴, 그리고 토비아스 C. 반 빈 등 모네의 작업을 연구하는 몇몇 학자들은 모네가 어떤 식으로든 대서양 흑인 정체성의 경계를 초월했다고 본다. 반 빈은 사이보그 신디 메이웨더가 대서양 흑인 정체성의 다른 버전에선 끈질기게 출몰하곤 하는 억압의 역사로부터 얼마간 자유로운 흑인성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메이웨더는) 너무나 자주 게토 리얼.. 2022. 4. 18.
‘캔자스시티에 해방을’: 디지털 그리오로서의 자넬 모네의 혁명(2/4) ‘캔자스시티에 해방을’: 디지털 그리오로서의 자넬 모네의 혁명(2/4) 카산드라 L. 존스(신시내티 대학 아프리카학 조교수) 저 단감 번역 모네의 메트로폴리스에서 시간의 흐름과 신체 및 저항을 통제하기 시간여행이라는 비유는 아프리카 미래주의자들이 사회 불평등의 윤곽을 드러낼 뿐 아니라 잃어버린 것처럼 보이는 역사를 재구축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자아를 넘어설 수 있는 한 가지 수단이다. 레이나 자몬에 따르면,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예술가들에게 시간여행은 “인종 및 성적 지배에 저항할 공간을 만들어낼 도구”가 될 수 있다. 모네의 비디오에서 시간을 넘나들며 다른 시간대의 여러 반군을 규합하는 능력은 저항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자넬 모네의 메트로폴리스에서 혁명은 모네의 노래 “Q.U.E.E.N”와 함께.. 2022. 4. 7.
에르네스토 라클라우 <포퓰리즘 이성에 대하여> 서문 이승원 선생님께서 에르네스토 라클라우의 책 에 실린 서문을 번역해 주셨습니다. 출판사에서 출판을 검토하고 있는 책이니 웹진 에 올린 서문의 번역문은 인용을 삼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번역문의 게시를 허락해 주신 이승원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다음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영어 원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편집부) https://www.facebook.com/100000043129060/posts/5495798327098217/?d=n     에르네스토 라클라우포퓰리즘 이성에 대하여 (On Populist Reason, 2005, Verso) 서문  번역 이승원 | 서울대학교 아시아도시사회센터 전임연구원  이 책에서 다루는 주요 쟁점은 집단적 정체성 형성의 본질과 논리이다. 내 전체 접근 방식은 사회 분석의 기.. 2022. 4. 4.
‘캔자스시티에 해방을’: 디지털 그리오로서의 자넬 모네의 혁명(1/4) ‘캔자스시티에 해방을’: 디지털 그리오로서의 자넬 모네의 혁명(1/4) 카산드라 L. 존스(신시내티 대학 아프리카학 조교수) 저 단감 번역 들어가며 자칭 아프리카 미래주의자(Afrofuturist)이자 알앤비 가수이며 이제는 배우이기도 한 자넬 모네는 정식 발표한 다수의 음반 및 뮤직비디오를 통해 대안적 도시풍경을 지닌 메트로폴리스를 그린 음악을 창작하며 대중적 관심과 함께 학문적 관심을 모아왔다. 미래적 도시는 신디 메이웨더의 이야기 혹은 전복적인 ‘일렉트릭 레이디electric lady’라는 모네의 비전을 위한 풍경으로, 여기에서 모네가 메트로폴리스를 찾을 때마다 활용하는 사이보그 비유(trope)를 소환한다. 이는 다른 아프리카 미래주의자들도 자주 소환하곤 하는 비유이다. 성장하는 흑인 사변 미술 .. 2022. 3. 30.
「트랜스 여성 선언문」(줄리아 세라노, 번역 백소하) 트랜스 여성 선언문1) 줄리아 세라노 백소하 옮김 본 글에 붙은 1),2) 등의 숫자는 각주 번호를 가리킵니다. 티스토리의 각주 서비스 종료로 번호만 표기했습니다. 정확한 각주 내용을 확인하실 분은 가장 하단에 첨부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보시길 권합니다. 이 선언문은 온 세상 트랜스 여성을 향한 책임 전가, 우롱, 비인간화의 종식을 요청한다. 이 선언문의 목적을 위해, 트랜스 여성은 태어날 때 남성으로 지정되었지만 여성으로 정체화하고/하거나 살아가는 사람으로 정의된다. “트랜스 여성”이라는 말에는 개인이 여성으로 “패싱”할 수 있는지 여부, 호르몬 수치, 성기의 상태를 근거로 자격이 설정되어서는 안 된다. (트랜스건 아니건) 어떤 여성을 그저 신체 부위로 환원하거나, 외모에 관해 사회적으로 특정하게 지시.. 2021. 11. 30.
「트랜스페미니스트 선언문」(3/3) 트랜스페미니스트 선언문(3) The Transfeminist Manifesto1) 에미 코야마(Emi Koyama) 백소하 옮김 ※본 글에 붙은 괄호숫자 1) 또는 2) 등은 각주 번호를 가리킵니다. 티스토리의 각주 서비스 종료로 번호만 표기했습니다. 정확한 각주 내용을 확인하실 분은 글 마지막 부분에 업로드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보시길 권합니다. 『파도를 붙잡기: 21세기의 페미니즘을 탈환하기』 후기 나는 포틀랜드로 이사하고 몇 달 뒤, 트랜스젠더 및 성전환자 공동체를 알게 되고 페미니즘과 트랜스 경험의 상호교차점을 탐색하기 시작한 2000년의 여름에 「트랜스페미니스트 선언문」을 썼다. 내가 순진했던 것 같지만, 난 일부 페미니스트 사이에 반트랜스 정서가 있고 일부 트랜스 사이에 반페미니스트 정서가 있.. 2021. 1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