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1

러시아 제국주의에 관하여 러시아 제국주의에 관하여 정보라 (민주노총 비정규교수노조) 0.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두 달이 가까워지고 있다. 침공 전이던 2월 중순, 긴장이 고조되고 있을 때 러시아와 러시아의 편에 붙은 벨로루스 정부는 “48시간 이내에 수도 키이우를 장악한다” “사흘이면 전쟁이 끝난다”고 자신했다. 그러나 침공 후 49일째인 지금 수도 키이우는 실질적으로 한 번도 장악당하지 않았고 키이우를 향해 진격하던 러시아군은 패퇴했으며 우크라이나 시민들은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를 중심으로 똘똘 뭉쳐 고국을 훌륭히 방어하고 있다. 러시아는 왜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을까? 그리고 무슨 근거로 48시간이니 72시간이니 하는 비현실적인 숫자를 대며 키이우 장악을 자신했을까? 1. 조지아 전쟁 (2008) 2008년 8월 .. 2022. 4. 22.
장애인 대중 주체의 형성을 위하여: 전장연 박경석 인터뷰 (1/3) 노들장애인야학 박경석 활동가 인터뷰정리: 노의현, 장희국, 정정훈,     * 본 인터뷰는 2017년도에 만들어진  「 한국 '진보적 인권운동'의 역사에 대한 인권활동가 인터뷰 자료집: 1993년부터 2012년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에 수록된 내용입니다.      [인권활동가가 되기까지] Q. 박경석 활동가가 장애운동을 하게 된 과정에 대해서 말씀해주셨으면 합니다.  A. 저는 83년도에 장애를 입었습니다. 대학 내 행글라이더 동아리에서 활동하다가 사고를 당했어요. 제대 후에 복학해서 활동하고 있었죠. 군대는 80년도 해병대에 지원해서 수색대에 있었어요. 어차피 고생할 거 즐겁게, 짜릿한 걸 해보자는 주의여서요. 거기서 낙하산, 스킨스쿠버 등을 배워서 노는 것에 관심이 많았어요. 군대 가기 전에도 가만히.. 2022. 4. 19.
‘캔자스시티에 해방을’: 디지털 그리오로서의 자넬 모네의 혁명(3/4) 카산드라 L. 존스(신시내티 대학 아프리카학 조교수) 저 단감 번역 모네의 리믹스된 역사 음악적 무기나 전기 자극을 사용하여 지역 사회를 음악적으로 단결시키고 역사를 리믹스하면서 모네의 작품은 단절되지 않은 역사의 연쇄를 보여주는 동시에, 상실한 것처럼 보이는 우리 아프리카의 과거를 재구축하자는 아프리카 미래주의의 또 다른 목표를 재현한다. 그러나 잉글리쉬와 킴, 그리고 토비아스 C. 반 빈 등 모네의 작업을 연구하는 몇몇 학자들은 모네가 어떤 식으로든 대서양 흑인 정체성의 경계를 초월했다고 본다. 반 빈은 사이보그 신디 메이웨더가 대서양 흑인 정체성의 다른 버전에선 끈질기게 출몰하곤 하는 억압의 역사로부터 얼마간 자유로운 흑인성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메이웨더는) 너무나 자주 게토 리얼.. 2022. 4. 18.
[인터뷰] 우크라이나의 진정한 평화는 오직 러시아의 변화를 통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우크라이나의 진정한 평화는 오직 러시아의 변화를 통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 협상은 전투를 멈출 수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얼마나 오랫동안 가능할 것인가? 번역 한상원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번역자: 이 글은 4월 8일 자로 로자 룩셈부르크 재단의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이슈 모음 페이지에 수록된 우크라이나에서 좌파 지식인 옥사나 두차크의 인터뷰를 번역한 것이다. 전쟁터에서 탈출한 뒤 이뤄진 인터뷰에서 그녀는 단호한 목소리로 무기지원과 경제제재를 요구했다. 물론 이 글을 번역함으로써 나는 그녀의 주장이 전적으로 옳다고 주장하려는 것은 아니다. 러시아 내부의 반전운동에 대한 그녀의 회의적인 전망 역시 지나치게 비관적이라는 느낌을 준다. 다만 오늘의 우리는 심지어 좌파조차도 무기지원과 제재를 요구할.. 2022. 4. 12.
2.18 대구지하철참사 다시 쓰기 이 글은 2020년 416재단의 기금을 받아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전주희 연구원이 수행한 연구보고서이다. 주제는 이다. 2020년 대구지하철참사 18주기에 맞춰 본 보고서 내용을 토대로 18주기 기념 토론회에 발표가 된 바 있다. 보고서의 전문은 PDF 파일로 첨부하되, 보고서를 작성하게 된 문제의식과 결론 부분에 해당하는 내용 일부를 발췌하여 올린다. - 편집부 2.18 대구지하철 참사 다시 쓰기 : 노동자·시민의 안전을 다시 생각하다. 전주희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Ⅰ. 서론 1. 연구배경과 필요성 : 대구지하철 화재참사가 우리사회에 던지는 질문과 과제 2014년 4월 16일 세월호가 침몰하고 약 한달 뒤, 경기도 안산시는 를 작성했다. 나는 우연히 이 문건을 보게 되었는데, 안산시 관계자들이 대구광역시를.. 2022. 4. 11.
‘캔자스시티에 해방을’: 디지털 그리오로서의 자넬 모네의 혁명(2/4) ‘캔자스시티에 해방을’: 디지털 그리오로서의 자넬 모네의 혁명(2/4) 카산드라 L. 존스(신시내티 대학 아프리카학 조교수) 저 단감 번역 모네의 메트로폴리스에서 시간의 흐름과 신체 및 저항을 통제하기 시간여행이라는 비유는 아프리카 미래주의자들이 사회 불평등의 윤곽을 드러낼 뿐 아니라 잃어버린 것처럼 보이는 역사를 재구축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자아를 넘어설 수 있는 한 가지 수단이다. 레이나 자몬에 따르면,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예술가들에게 시간여행은 “인종 및 성적 지배에 저항할 공간을 만들어낼 도구”가 될 수 있다. 모네의 비디오에서 시간을 넘나들며 다른 시간대의 여러 반군을 규합하는 능력은 저항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자넬 모네의 메트로폴리스에서 혁명은 모네의 노래 “Q.U.E.E.N”와 함께.. 2022. 4. 7.
에르네스토 라클라우 <포퓰리즘 이성에 대하여> 서문 이승원 선생님께서 에르네스토 라클라우의 책 에 실린 서문을 번역해 주셨습니다. 출판사에서 출판을 검토하고 있는 책이니 웹진 에 올린 서문의 번역문은 인용을 삼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번역문의 게시를 허락해 주신 이승원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다음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영어 원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편집부) https://www.facebook.com/100000043129060/posts/5495798327098217/?d=n     에르네스토 라클라우포퓰리즘 이성에 대하여 (On Populist Reason, 2005, Verso) 서문  번역 이승원 | 서울대학교 아시아도시사회센터 전임연구원  이 책에서 다루는 주요 쟁점은 집단적 정체성 형성의 본질과 논리이다. 내 전체 접근 방식은 사회 분석의 기.. 2022. 4. 4.
다성부 탄소 광시곡: 에너지 집약시대의 러시아, 서유럽, 그리고 미국 다성부 탄소 광시곡: 에너지 집약시대의 러시아, 서유럽, 그리고 미국 홍지수 (브라운대학교 역사학 박사과정 수료)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지 13일째인 지난 3월 8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대국민 연설을 통해 석유와 가스를 포함한 러시아산 에너지 상품의 수입을 전면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화석연료 수출을 주수입원으로 삼는 러시아의 자금줄을 막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전쟁 수행에 “강력한 타격”을 가하겠다는 것이다. 푸틴의 전쟁을 규탄하고 러시아산 에너지원을 거부하는 목소리가 울려 퍼진것은 비단 백악관에서 뿐만이 아니다. 미국 그린피스 활동가들은 “석유는 전쟁의 동력원 (Oil Fuels War)”이라 외치며 지난 22일 아침 러시아산 원유를 싣고 뉴욕으로 입항하던 유조선을 막아섰다. 그들은 러.. 2022. 4. 2.
‘캔자스시티에 해방을’: 디지털 그리오로서의 자넬 모네의 혁명(1/4) ‘캔자스시티에 해방을’: 디지털 그리오로서의 자넬 모네의 혁명(1/4) 카산드라 L. 존스(신시내티 대학 아프리카학 조교수) 저 단감 번역 들어가며 자칭 아프리카 미래주의자(Afrofuturist)이자 알앤비 가수이며 이제는 배우이기도 한 자넬 모네는 정식 발표한 다수의 음반 및 뮤직비디오를 통해 대안적 도시풍경을 지닌 메트로폴리스를 그린 음악을 창작하며 대중적 관심과 함께 학문적 관심을 모아왔다. 미래적 도시는 신디 메이웨더의 이야기 혹은 전복적인 ‘일렉트릭 레이디electric lady’라는 모네의 비전을 위한 풍경으로, 여기에서 모네가 메트로폴리스를 찾을 때마다 활용하는 사이보그 비유(trope)를 소환한다. 이는 다른 아프리카 미래주의자들도 자주 소환하곤 하는 비유이다. 성장하는 흑인 사변 미술 .. 2022.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