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71 에티엔 발리바르: “난민들과 함께 우크라이나는 이미 사실상 유럽으로 들어왔다.” [아래는3월21일자로 공개된,에티엔 발리바르가 프랑스의 철학 잡지과 진행한 인터뷰를 옮긴 것이다. 한상원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이 불어 텍스트를 영어,독어와 교차하여 초벌 번역을 하였고,오랫동안 발리바르 연구를 해온 장진범 선생님이 몇몇 결정적 오역을 바로잡고 새로운 번역어 제안을 해주었다.그럼에도 남아 있는 오역이 있다면,이는 불어실력이 일천한 초벌번역자의 책임임을 감안해주기를 독자들에게 부탁드린다.] 원문 링크: https://www.philomag.com/articles/etienne-balibar-avec-ses-refugies-lukraine-est-deja-entree-en-europe-dans-les-faits 독어판 링크: https://www.philomag.de/artikel/der-e.. 2022. 3. 28. 보리스 헤르손스키의 시 <Missa in tempore belli>(2014) 보리스 헤르손스키의 시 (2014) 서문 및 번역 이 종 현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내 '특별군사작전'을 승인한 지난 2월 24일, 우크라이나 오데사의 시인 보리스 헤르손스키(1950-)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다음과 같은 코멘트를 달며 라는 시를 올렸다. "이 시는 슬픈 기억의 해 2014년에 쓴 것이다. 오늘 다시 올려본다." (캡쳐한 페이스북 사진에는 2월 25일로 되어 있는데 한국시간으로 계산된 것으로 보인다) 그는 소비에트 시절 언더그라운드에서 활동하며 삼이즈다트(자가지하출판)로 시들을 발표했다. 예전에는 주로 러시아어로 시를 썼지만 요즘에는 우크라이나어로 많이 쓴다고 한다. 그런데 이 시에는 라틴어 가톨릭 미사통상문과 러시아어가 섞여 있다. 이 시를 영어로 옮긴 마르타 .. 2022. 3. 24. 우크라이나 전쟁과 글로벌 좌파의 논쟁들 우크라이나 전쟁과 글로벌 좌파의 논쟁들 한상원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러시아 푸틴 정권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국제 좌파들은 결코 쉽게 정리될 수 없는 논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2월 27일은 독일에게 매우 역사적인 날이었다. 이날 올라프 숄츠 총리는 연방의회 연설에서 분쟁지역에 무기를 수출하지 않는다는 2차 대전 이후 외교원칙을 폐기하고, 1000억 유로의 군비확충 계획을 제출하는 등 독일 대외정책에서의 ‘시대전환(Zeitenwende)’을 선언했다. 반면 이날 같은 자리에서 연설한 좌파당의 아미라 모하메드 알리(Amira Mohamed Ali) 의원은 숄츠 정부의 군비지출안에 반대했다. 그러나 그녀는 동시에 다음과 같이 말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저는 우리.. 2022. 3. 23. 대담 <90년대·포스트모더니즘·여성해방문학론> (3/3) - 대담자임옥희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이사)권보드래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이은솔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박사 과정)·일시 : 2022년 1월 6일 오후 2시 ·장소 : 합정 여성문화이론연구소·주최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제1회 한국학페스티벌- 목차 -0) 대담에 들어가며1) 90년대의 페미니즘 담론과 ‘변두리 페미니즘’2) 80년대 말~90년대 초의 대학 풍경과 경희대 영문학과에서의 지적 경험3) 90년대의 여성 잡지 : 「또 하나의 문화」, 「여성과 사회」, 그리고「여/성이론」4) 90년대 포스트모더니즘 담론과 ‘여성 없는 여성주의’의 정치성5) 배수아에서 양귀자까지, 90년대 여성 문학을 기억하는 방식들 6) 「여/성이론」 창간호와 주디스 버틀러의 주체 이론 소개 4) 90년대 포스트모더니.. 2022. 3. 20. 험한 길 위에 선 우리 모두의 초상 - 나탈리야 보로즈비트(Наталія Ворожбит)의 <험한 길(Погані Дороги)>(2020) 험한 길 위에 선 우리 모두의 초상 - 나탈리야 보로즈비트(Наталія Ворожбит)의 (2020) 김다솜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세미나 회원 ‘험한 길’이라는 제목 그대로 영화는 먼지 날리는 흙길을 지나는 차 한 대를 비추며 시작된다. 일반인을 섭외한 것이 아닐까 의심이 들 만큼 평범해 보이는 운전자는 분쟁 지대의 검문소를 통과하려는 한 학교의 교장이다. 하필이면 전쟁이라는 험악한 상황에 여권을 잘못 들고 오는 실수를 한 데다 트렁크에 실은 짐 때문에 오해가 커지고 군인들과 교장 사이의 긴장감은 누그러질 줄을 모른다. 영화를 구성하는 네 개의 독립된 에피소드에는 서로 다른 성별과 연령의 인물들이 등장하지만 첫 에피소드에 나타나는 것과 그리 다르지 않은 긴장감이 일관되게 이어진다. 두 번째 에피소드에.. 2022. 3. 19. 대담 <90년대·포스트모더니즘·여성해방문학론> (2/3) - 대담자임옥희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이사)권보드래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이은솔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박사 과정)·일시 : 2022년 1월 6일 오후 2시 ·장소 : 합정 여성문화이론연구소·주최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제1회 한국학페스티벌- 목차 -0) 대담에 들어가며1) 90년대의 페미니즘 담론과 ‘변두리 페미니즘’2) 80년대 말~90년대 초의 대학 풍경과 경희대 영문학과에서의 지적 경험3) 90년대의 여성 잡지 : 「또 하나의 문화」, 「여성과 사회」, 그리고「여/성이론」4) 90년대 포스트모더니즘 담론과 ‘여성 없는 여성주의’의 정치성5) 배수아에서 양귀자까지, 90년대 여성 문학을 기억하는 방식들 6) 「여/성이론」 창간호와 주디스 버틀러의 주체 이론 소개 3) 90년대의 여성 잡지 :.. 2022. 3. 16.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