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29 부르디외 사회학의 주요 개념들 개관 피에르 부르디외 사회학의 주요 개념들 개관: 핵심 개념들의 유기적 관계 김현준 _서교인문사회연구실(사회이론 연구팀) 부르디외의 이론의 출발점, 인식론적 전제는 ‘사회적 공간(social space)’과 사회적 ‘실천(practice)’이다. 따라서 이 두 개념으로부터 설명을 시작하면 좋을 듯하다. 사회적 공간(social space)은 사회 세계를 실체론적(substantialist) 방식으로 생각하는 경향과 단절하고 관계적(relational)으로 이해하려는 것이다(Bourdieu, 1998:31). 행위자들은 이 사회적 공간 내에 위치지어져 있으며 객관적 구조나 제도는 이 공간의 역학 관계로부터 파생한다. 이 사회적 공간의 구체적이고 경험적인 세계가 바로 장(field)이다. 그리고 사회적 공간에서 .. 2020. 1. 6. 서론 : 물신주의들 서론 : 물신주의들 로라 멀비박상빈 옮김 이 글은 로라 멀비의 주저 『물신과 호기심(Fetishism and Curiocity)』(London : Indiana University Press, 1996)의 서론으로 수록된 글이며, 1993년 학술지 『October』 65호에 「동시대 문화 콘텍스트에서 물신 이론에 관한 소고(Some Thoughts on the Theory of Fetishism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Culture)」라는 제목으로 발표된 바 있다. 이 글은 2019년 9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진행된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페미니즘 이론학교 시즌3의 수업을 위해 번역된 것임을 밝힌다. 1960년대 좌파의 위기를 수습하려 했을 때, 페미니즘 정치학은 ‘마르크스.. 2019. 12. 23. 제국의 역습: 포스트성전환자 선언 (2/2) - 샌디 스톤 + 역자 해제 제국의 역습: 포스트성전환자 선언 샌디 스톤Sandy Stone 저 (고급통신기술연구소(ACTLab)/오스틴 주재 텍사스 대학교 라디오·텔레비전·영상학과) 백소하 번역 단감, 김호영 감수 만약 호이어가 연구대상을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현실을 환상과 뒤섞는다면, 『남자에서 여자로』에는 무슨 교훈이 있는가? 부분적으로 이 책에서 떠오르는 것은 호이어가 지금까지도 유효한 전략인, 하나의 주제 안으로 방어벽을 치는 전략을 어떻게 구사하는가에 대한 질문이다. 릴리는 아직도 자기 안에 위협적으로 존재하며 자신을 침범하는 남성적인 자아를, 자신이 ‘교수님’이나 ‘기적을 행하는 자’라고 부르는 자신의 외과의/상담사인 베르너 크로이츠의 신적인 형상으로 대체한다. ‘교수님’은 빚어내는 ‘존재’이며 릴리는 빚어지는 것이.. 2019. 11. 25. 제국의 역습: 포스트성전환자 선언 (1/2) - 샌디 스톤 제국의 역습[각주:1]: 포스트성전환자 선언 [역자해제 중] 샌디 스톤의 「제국의 역습: 포스트성전환자 선언」(1987)은 미국 성전환자를 둘러싼 담론의 역사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성전환자 당사자의 담론 재구성을 촉구하는 글이다. 미국에서 성전환자를 둘러싼 여러 관습적인 젠더 담론은 성전환자를 대상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성전환자 당사자는 수술과 패싱을 목적으로 이러한 담론과 타협하였다. 스톤은 성전환자 당사자들이 이러한 타협의 필요성을 해체함으로써 정체성과 욕망의 스펙트럼을 탐구할 힘기르기를 꾀하는, “포스트성전환자가 되는 것”(18)이라는 방도를 제시한다. 샌디 스톤Sandy Stone 저[각주:2] (고급통신기술연구소(ACTLab)/오스틴 주재 텍사스 대학교 라디오·텔레비전·영상학과) 백소하 .. 2019. 11. 12. 『역사유물론 5연구』 한국어판 서문 『역사유물론 5연구』 한국어판 서문[각주:1] 1974년 출간한 저의 논문 모음집 『역사유물론 5연구』가 배세진 씨의 노고로 이전 1989년 번역본과는 달리 이제 완역돼 새 한국어 번역이 나올 수 있게 되어 저는 큰 기쁨과 영광을 느낍니다. 저는 역자 배세진 씨에게 깊은 감사를 표하고 싶은데요, 그런데 45년도 더 전에 출간했던(그리고 이 5연구 중 몇몇 연구의 경우 그보다도 더 오래되었죠) 책을 오늘날 한국의 독자들이─오늘날 한국의 독자들 가운데에서도 특히, 제가 교육받았던 그리고 제가 철학과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연구에 착수했던 그러한 세계와는 분명 매우 다른 세계 속에서 성찰의 시대[혹은 나이]로 이제 막 접어들고 있는, 젊은 세대의 독자들이─관심을 가질 만한 가치가 있을 거라 판단하고 이를 번역.. 2019. 11. 10. 여성들과 공동체의 전복 PDF 합본 2019. 11. 2. 여성들과 공동체의 전복(2/2) - 마리아로사 달라 코스타 여성들과 공동체의 전복(2/2) 마리아로사 달라 코스타이승준 옮김(연구공간 L)잉여 가치와 사회적 공장 그러면 이 지점에서 우리는 정통 맑스주의가, 특히 이른바 맑스주의 정당들의 이데올로기 및 실천에서 늘 당연한 것으로 간주했던 특정한 관점의 근거를 분명히 하는 것으로 시작하고 싶다. 그 관점이란 이렇다. 여성들이 사회적 생산의 외부 즉 사회적으로 조직된 생산 순환의 외부에 있을 때, 그들은 또한 사회적 생산성 외부에 있다는 것이다. 달리 말해서 여성들의 역할은 가정 바깥에서 주변적으로 고용된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산 외부에 있는 심리적으로 종속된 자의 것으로, 즉 본질적으로 가정에서의 일련의 사용가치를 공급하는 자의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는 기본적으로 맑스의 관점인데, 그는 공장들에서 노동하는 여.. 2019. 10. 31. 상호-대상성/객관성/객체성(inter-objectivité) 후기: 상호-대상성/객관성/객체성(inter-objectivité) 에티엔 발리바르(Étienne Balibar) 지음배세진 옮김(파리 7대학 사회과학대학 ‘사회학 및 정치철학’ 학과 정치철학 전공 박사과정) [옮긴이] 이 텍스트는 발리바르의 논문집 “시민-주체”(PUF, 2011)에 수록된 논문 ‘상품의 사회계약: 마르크스와 교환의 주체’의 후기(post-scriptum)를 번역한 것이다. 출판을 염두에 두지 않은 번역이므로 가독성을 해치더라도 inter-objectivité는 ‘상호-대상성/객관성/객체성’으로, inter-subjectivité는 ‘상호-주관성/주체성’으로 옮기도록 하겠다. inter는 ‘상호’ 혹은 ‘간’으로 옮길 수 있으며, objectivité는 불어의 objet나 영어의 ob.. 2019. 10. 15. 주변부 지도 그리기 : 교차성, 정체성의 정치, 그리고 유색인여성에 대한 폭력 (5) 주변부 지도 그리기 교차성, 정체성의 정치, 그리고 유색인 여성에 대한 폭력 (5) 킴벌리 크랜쇼단감(페미니즘 번역모임) 옮김 C. 사회과학에서 강간과 교차성 반인종주의 운동 및 페미니즘 운동이 강간법에 대해 비판할 때 흑인 여성의 경험이 주변화되는 경향은 인종차별과 성차별이 수렴되는 방식을 제대로 조사하지 못하는 사회과학 연구에 의해 한층 촉진된다. 게리 라프리의 『강간과 형사 사법제도: 성폭력의 사회적 구성』이 전형적인 사례이다. 라프리는 미니애폴리스에서 이뤄진 강간 기소를 연구하여 강간 기소에 관한 두 가지 지배적인 주장의 타당성을 점검하고자 한다. 첫 번째 주장은 흑인 피고인이 심각한 인종 차별에 직면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피해자가 전통적이지 않은 행위를 했을 때에는 강간법이 피해자가 성폭력 .. 2019. 10. 5.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59 다음